우리 서비스는 소셜, 아이디, 비밀번호 형식으로 로그인을 하면 JWT토큰을 반환한다.
이후 게시글 작성이나 조회같은 http요청을 할 때 header에 “Bearer (토큰)” 형식으로 토큰을 담아 요청을 보낸다.
소켓통신은 Http처럼 클라이언트 측에서 보낸 요청(request)를 서버에서 받아 응답(response)을 하는 형식이 아니다.
소켓통신 방식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은 위의 페이지에서 확인 할 수 있다.
위에서 설명한 소켓통신은 웹 소켓과 완전히 같지않고 소켓통신방식을 웹에서 사용 가능하게끔 발전한 것이 웹 소켓이라고 생각할 수 있을 것 같다.
또한 웹 소켓은 http같은 하나의 프로토콜이다.
웹 소켓의 첫 handshake(연결)은 http요청을 통해 이루어진다.
클라이언트 측에서 Upgrade: websocket 요청을 하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