프리토타입을 통해 아이디어를 검증하고 추측만으로 제품을 만들때와는 비교 할 수 없는

나만의 데이터를 통해 니즈가 있다는 것을 파악했다.

이제는 확신을 가지고 프리토타입이 아닌 진정한 토리를 만들 수 있다.(모수 자체가 적긴 하지만)

토리의 타겟팅

토리는 화장실에 대한 정보는 제공 가능하지만 그 외의 정보들은 현재 시점으론 제공하기 어렵다고 판단했다.

이러한 이유로, 토리의 타겟팅 전략은 약속 장소를 이미 정한 후 그 장소의 화장실 정보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들에게 초점을 맞추기로했다.

토리만의 아하 모먼트

우리의 아하 모먼트는 사용자가 중요한 약속이나 데이트, 혹은 술집에서 화장실 시설로 인해 불편함을 겪을 때, 토리를 통해 그 문제를 미리 파악하고 해결할 수 있는 순간이라고 생각한다.

사용자가 토리를 통해 해당 장소의 화장실 정보를 확인하고, 그로 인해 불편함을 피할 수 있을 때, 그들은 토리의 진정한 가치를 느끼게 될 것이다.

홈화면

변경 전

변경 전

변경전 홈 화면은 별 다른 목적 없이 홈 화면하면 생각나는 것들로 구현했었다.

변경 후

변경 후

KakaoTalk_Image_2024-12-05-22-29-58_002.jpeg

KakaoTalk_Image_2024-12-05-22-29-58_001.jpeg

하지만 변경 후 홈 화면은 약속 장소를 이미 정한 후 그 장소의 화장실 정보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가 타겟이기 때문에 딱 그에 맞게 바로 지역을 검색 할 수 있도록 강조한 화면으로 변경하였다. 또한 직접 조사 후 데이터를 넣기 때문에 지역별로 오픈 요청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. 이를 통해 우선도를 선정하여 차례대로 데이터를 넣어볼 것이다.

중간점검